모아휴게실
모아휴게실[가입] 로그인 / 회원가입   검색     


  
고사성어
 

괄목상대
2011-09-21 23:53:29 작성:푸른산 댓글:(0)   조회:2825
 


괄목상대

삼국시대(三國時代) 초엽, 오왕(吳王) 손권(孫權 : 182-252)의 신하 장수 중에 여몽(呂蒙)이 있었다. 그는 무식한 사람이었으나 전공(戰功)을 쌓아 장군이 되었다.
어느 날 여몽은 손권으로부터 공부하라는 충고를 받았다. 그래서 그는 전지(戰地)에서도 '손에서 책을 놓지 않고[手不釋券]' 학문에 정진했다. 그 후 중신(重臣) 가운데 가장 유식한 재사 노숙(魯肅)이 전시 시찰길에 오랜 친구인 여몽을 만났다. 
그런데 노숙은 대화를 나누다가 여몽이 너무나 박식해진 데 그만 놀라고 말았다.
"아니, 여보게. 언제 그렇게 공부했나? 자네는 이제 '오나라에 있을 때의 여몽이 아닐세(非復吳下阿夢)' 그려."
그러자 여몽은 이렇게 대꾸했다.
"무릇 선비란 헤어진 지 사흘이 지나서 다시 만났을 때 '눈을 비비고 대면할[刮目相對]' 정도로 달라져야 하는 법이라네."
여기서 유래된 말이 괄목상대이다.

. 


[이전글]  군계일학 (群鷄一鶴)
[다음글]  조령모개


 
댓글쓰기는 회원(로그인 하신분) 이상 가능합니다.


 댓글 (0)

  
고사성어
페이지: 2 / 7   

 토사 구팽
열람:3451   2017.04.01


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
열람:1649   2017.04.01


 시치미를 떼다
열람:1259   2017.04.01


 숙맥
열람:821   2017.04.01


 찻잔 속의 태풍
열람:1853   2017.04.01


 내 코가 석 자
열람:957   2017.04.01


 맹모 삼천지교
열람:777   2017.04.01


 엎지른 물
열람:845   2017.04.01


 돈 키호테형 인간
열람:710   2017.04.01


 삼십육계 줄행랑
열람:789   2017.04.01



  [1]  [2]  [3]  [4]  [5]  

복수단어 검색은 공백(space)로 구분해 주세요.




 
최근 글 [손님]
옛날 신라시대 화랑세기에 보면 마복자(摩腹子)라는 이야기가 있다.
양수 : 불우한 천재모사 – 조조의 심중을 꿰뚫어 죽임을 당하다
유방, 한신의 속 마음을 떠보다. 
사족
 
인기 글 [손님]
[깊은연못] KMFM - 24시간 연주곡